우리나라 식생활문화의 변천 - 식생활과 문화 방송통신대학 교재 정리
1. 선사시대의 식생활 구석기 시대 : 동굴이나 움직 생활, 동물 사냥, 자연에서 과일, 곡류, 나무뿌리등을 먹고 살았음. 불의 발견이후 조리음식을 먹게 되었고, 난방과 짐승으로부터 보호를 받게 됨, 타제석기 이용 추정 신석기 시대 : 빗살무늬 토기가 주로 강가, 해안가, 호숫가 등에서 출토 - 주방도구로 사용, 어업문화 발달로 조개, 패총 유물이 여러곳에서 발견 - 조개류가 식량이나 교역의 주류로 사용, 대형 빗살 무늬 토기를 이용해 공동식사 형태로 생활, 먹는 방법은 날것, 직화조리, 삶거나 찌는 조리법, 발효, 건조, 냉동, 움저장하는 방법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됨 2. 부족국가시대의 식생활 북방 유목민들이 청동기를 들고 들어와 우리민족의 원형인 맥족 형성 됨 - 고조선 을 세움 반월형 돌칼 : 곡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