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방송통신대학 식생활과 문화 교재2

방송통신대학 식생활과 문화 교재정리 - 한국음식의 상차림 일반적인 상차림 반상차림 : 밥과 반찬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반상차림 뚜껑이 있는 반찬그릇인 쟁첩의 숫자에 따라 5첩, 7첩, 9첩 이라 함. 기본은 3첩 7첩 이상의 상을 차릴때는 보조상인 곁상을 사용함신분 관계없이 독상이 기본으로, 2인용 겸상, 3인용 셋 겸상, 4인용 넷 겸상까지 차렸음 - 독상의 접대 규범은 조선시대 유교사상에서 비롯된 인본주의가 반영죽상차림 이른 아침 죽, 미음, 응이등 유동식과 동치미나 나박김치, 맑은 조치, 마른 반찬 등으로 차린 상 장국상 (면상) 차림점심에 온면이나 냉면, 만두, 떡국을 주식으로 차리는 상찜, 전, 채, 편육, 구이, 떡과 과줄, 과일, 화채 등이 부식으로 나옴 교자상 명절, 축하연, 회식 등에 차리는 상 주인상 손님에게 술대접을 하기위해 차리는 상차림 .. 2024. 11. 9.
우리나라 식생활문화의 변천 - 식생활과 문화 방송통신대학 교재 정리 1. 선사시대의 식생활 구석기 시대 : 동굴이나 움직 생활, 동물 사냥, 자연에서 과일, 곡류, 나무뿌리등을 먹고 살았음. 불의 발견이후 조리음식을 먹게 되었고, 난방과 짐승으로부터 보호를 받게 됨, 타제석기 이용 추정 신석기 시대 : 빗살무늬 토기가 주로 강가, 해안가, 호숫가 등에서 출토 - 주방도구로 사용, 어업문화 발달로 조개, 패총 유물이 여러곳에서 발견 - 조개류가 식량이나 교역의 주류로 사용, 대형 빗살 무늬 토기를 이용해 공동식사 형태로 생활, 먹는 방법은 날것, 직화조리, 삶거나 찌는 조리법, 발효, 건조, 냉동, 움저장하는 방법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됨 2. 부족국가시대의 식생활 북방 유목민들이 청동기를 들고 들어와 우리민족의 원형인 맥족 형성 됨 - 고조선 을 세움 반월형 돌칼 : 곡식.. 2022. 10.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