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방송통신대학 식생활과 문화 교재정리 - 한국음식의 상차림

by Canada Won 2024. 11. 9.
반응형

일반적인 상차림 

  • 반상차림 : 밥과 반찬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반상차림 
  • 뚜껑이 있는 반찬그릇인 쟁첩의 숫자에 따라 5첩, 7첩, 9첩 이라 함. 기본은 3첩 
  • 7첩 이상의 상을 차릴때는 보조상인 곁상을 사용함
  • 신분 관계없이 독상이 기본으로, 2인용 겸상, 3인용 셋 겸상, 4인용 넷 겸상까지 차렸음 - 독상의 접대 규범은 조선시대 유교사상에서 비롯된 인본주의가 반영

7첩 반상 (photo from 백금비 요리학원)

죽상차림 

  • 이른 아침 죽, 미음, 응이등 유동식과 동치미나 나박김치, 맑은 조치, 마른 반찬 등으로 차린 상 

장국상 (면상) 차림

  • 점심에 온면이나 냉면, 만두, 떡국을 주식으로 차리는 상
  • 찜, 전, 채, 편육, 구이, 떡과 과줄, 과일, 화채 등이 부식으로 나옴 

교자상 

  • 명절, 축하연, 회식 등에 차리는 상 

주인상 

  • 손님에게 술대접을 하기위해 차리는 상차림 
  • 신선로, 전골, 찜, 편육, 포, 적 또는 전, 회, 과줄, 생과일 등을 차려냄 

다과상 

  • 차와 과자류를 차려놓은 상차림 
  • 떡, 과줄, 화채, 생과일 등을 차려냄 

의례 상차림 

축의의 상차림 

  • 출생에서 백일까지 - 아이가 태어나면 삼신상을, 산모에게는 흰밥과 미역국으로 첫 국밥을 대접, 
  • 삼신상 - 아기와 산모의 건강회복 기원, 삼신께 감사의미로 산모 방 서남쪽에 흰밥 세그릇과 미역국 세그릇을 준비함 
  • 출생 21일 째 - 백설기를 집 안 사람들끼리만 나눠 먹음 
  • 출생 후 백일 - 백설기, 붉은 팥고물 찰 수수경단, 오색송편 준비 - 백설기는 아이의 무병장수 기원, 붉은 팥고물 경단은 액을 면하는 기원, 오색 송편의 5가지 색은 만물의 조화, 송편은 속이 차라는 의미 

돌상 

  • 출생후 만 일년만에 맞는 생일에 무병장수와 장래 복을 기원하는 의례
  • 백설기, 수수경단, 생과일, 오색송편 등의 떡류와 장수를 기원하는 국수와 타래실, 쌀, 돈, 책 등을 놓음 
  • 남아의 경우 활, 화살, 색붓, 찬자문책, 먹 등 여아의 경우 가위나 실패, 자 등의 바느질 도구를 놓음 

혼례음식 

  • 봉치떡 : 혼인 전날 저녁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납폐를 함에 담아 올때 신부집에서 찹쌀 3되, 붉은 팥 1되, 시루떡 2켜, 대추 7개를 준비함, 반드시 찹쌀로 만들것 - 부부금슬, 붉은 팥고물은 화를 피하기 위해, 대추 - 아들자손 번창 
  • 동뢰상 : 혼례하는 의례상, 초례청(신부집 안마당 중앙에 목단 병풍을 치고 그 앞에 붉은 칠한 동뢰상을 놓음) 그 앞에 작은 술상을 놓음, 앞줄에 밤, 대추, 유과, 다음 줄에 흰절편, 황색 대두, 붉은 팥, 절편에 색을 입힌 색편으로 수탉과 암탉 모양을 만들어 동,서,좌,우에 놓음, 밤과 대추는 결실과 아들 다산, 달떡은 잘 살라는 의미
  • 폐백 : 현구고례 - 신부가 시댁의 친족에게 처음으로 인사드리는 예로 이때 신부측에서 특별 음식을 준비 - 폐백, 개성지역의 폐백 - 큰 닭찜을 이용하고 알지단, 실고추, 표고버섯 으로 장식 후 삶은 달걀을 놓음, 서울지역의 폐백 - 육포와 대추 이용, 기타지역의 폐백 - 밤, 대추, 호두, 엿, 고기음식등을 중심으로 준비, 시어머니의 덕담 - 대추를 던지며 덕담을 하는 것 - 자손 번창을 바라는 의미

큰 상 

  • 초례를 행한 신랑에게 신부집에서, 현구고례를 행한 신부에게 시부모가 각각 축하의 뜻으로 차려 대접 
  • 회갑,친순, 회혼때에도 큰상을 차림 
  • 여러가지 음식을 30~60cm 높이로 원통형으로 괴어 색상을 맞춰 배열 - 조선시대 정착한것으로 추정

큰 상 (photo from 사이버소주박물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