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방송통신대학 식생활과 문화 교재 정리 - 절사음식

by Canada Won 2024. 11. 11.
반응형

절사음식 

  • 절후에 맟줘 절식 풍습을 형성 
  • 정신적, 신체적 건강 조절 
  • 쌀중심의 떡가 술이 주류를 이룸 
  • 빈부귀천없이 가장 보편적이고 소탈한 음식 
  • 한달에 한번씩 절식을 따라 음식을 먹고 오락을 즐김 - 집단 공동체의 동질성 확인, 이웃간 친목도모

절식의 종류와 식생활의 내용 

  • 설날 (정월 초하루) : 흰떡국, 만두, 약식, 인절미, 갈비찜,전유어, 빈대떡, 편육, 나박김치, 나물류, 강정, 수정과, 식혜, 과일, 차 등을 준비 
  • 정월 대보름 : 음력 정월 14일 저녁, 오곡밥, 묵은 나물을 먹으며 달맞이를 함, 15일 아침에는 부럼을 깨물고, 아침상에 귀밝이술을 내 노음, 복쌈으로 김, 취나물, 배추에 밥을 싸 먹음으로써 복과 풍년 기원 
  • 삼월 삼짇날 : 음력 3월 3일, 강남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날, 화전, 쑥떡, 쑥버무리, 술, 과일, 포 등을 먹음 
  • 한식 : 동지에서 105일 되는 날, 약주, 과실, 식혜, 떡, 국수, 적등을 먹음, 조상 묘를 돌보고 불을 쓰지 않는 날 

쑥떡 (Photo from 더경남뉴스)

  • 단오 : 음력 5월 5일로 수릿날이라고도 함, 창포물에 머리 감는 날, 여자는 그네뛰기, 남자들은 씨름을 함, 둥근 수레바퀴 모양으로 찍어낸 수리치떡 절편, 준치만두, 도미찜, 앵두편, 앵두화채, 제호탕 등을 먹음 

수리치떡 절편 (photo from 우리역사넷)

  • 유두 : 음력 6월 15일,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는 풍습, 수단자 (맵쌀가루 흰떡을 염주알처럼 빚어 쌀가루를 씌운 뒤 찬물에 헹궈 오미자물에 띄어 낸 것), 유두면, 상화병 등을 만드는 풍습이 있었음 

상화병 (photo from 파이낸셜 뉴스)

  • 칠석 :음력 7월 7일 밤, 견우와 직녀가 만나는 날로 밀전병, 밀국수등을 먹음 
  • 한가위 (추석) : 음력 8월 15일로 조상들에게 감사제를 지내는 날, 햇곡식,햇과일, 송편, 토란탕, 화양적, 닭찜 등을 먹음
  • 중앙절 : 음력 9월 9일 (중양, 중광, 중구라고 함)로 단풍 구경하는 날, 국화전, 국화주, 배, 유자, 석류를 섞은 국화화채, 송이산적 등을 먹음 
  • 10월 상단 : 고사를 지내는 풍습, 고사떡으로 팥무시루떡이 있음 
  • 동지: 팥죽을 문에 발라 부정을 막는 풍속이 있음, 팥죽에 새알심을 만들어 꿀에 타 먹음 

팥죽 (photo from 한국 민족문화대백과 사전)

  • 섣달 그믐 : 납월이라고 하며 1년의 마지막 날로 제석, 세제, 작은 설이라고 함, 비빔밥을 먹으며 남은 음식이 해를 넘기지 않도록 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