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대학 식생활과 문화 교재정리 - 한국음식의 상차림
일반적인 상차림 반상차림 : 밥과 반찬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반상차림 뚜껑이 있는 반찬그릇인 쟁첩의 숫자에 따라 5첩, 7첩, 9첩 이라 함. 기본은 3첩 7첩 이상의 상을 차릴때는 보조상인 곁상을 사용함신분 관계없이 독상이 기본으로, 2인용 겸상, 3인용 셋 겸상, 4인용 넷 겸상까지 차렸음 - 독상의 접대 규범은 조선시대 유교사상에서 비롯된 인본주의가 반영죽상차림 이른 아침 죽, 미음, 응이등 유동식과 동치미나 나박김치, 맑은 조치, 마른 반찬 등으로 차린 상 장국상 (면상) 차림점심에 온면이나 냉면, 만두, 떡국을 주식으로 차리는 상찜, 전, 채, 편육, 구이, 떡과 과줄, 과일, 화채 등이 부식으로 나옴 교자상 명절, 축하연, 회식 등에 차리는 상 주인상 손님에게 술대접을 하기위해 차리는 상차림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