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방송통신대학 유아음악 반주 교재 정리 - 국악의 이해

by Canada Won 2024. 11. 25.
반응형

국악의 개념과 특성 

  • 국악이란 ? 우리나라의 음악으로 전통 음악 포괄
  • 정악과 민속악으로 분류 
정악 민속악
아악, 당악, 민속악을 제외한 향악을 포함 
아악 : 유교 예악사상에서 나온 말 - 깨끗하고 바른 음악 
조선시대 이후 문화융성기에 형성된 음악형식
현재 민속악 : 산조, 시나위, 무속음악, 민요, 잡가, 풍물 (농악놀이), 판소리 등

 

국악은 우리의 음악 어법

  • 음악 어법 : 고유한 음악규칙으로 표현과 공감을 가능하게 하는 것 
  • 우리음악의 고유한 어법의 예 : 자장가 
  • 국악 : 우리 내면의 정서가 소리의 질서를 이루어 만들어진 우리 교육의 음악 어법 

유아기는 체계적 국악교육의 출발점 

  • 우리음악을 통해 유아에게 민족음악정서를 심어줌 
  • 정서적 안정과 음악의 기초발달을 돕는 역할을 함 
  • 유아기 - 민족정서를 회복하는 체계적 국악교육의 출발점 

국악은 자연성을 존중하는 음악 

  • 악기의 재료가 자연물의 소리를 최대한 살림 - 대금, 피리, 단소등, 현악기의 무명실을 손이나 대나무 술대로 연주 
  • 소리의 재질이 자연적 소리의 질을 존중 - 판소리의 고운 소리와 칠성 (단단한 소리), 수리성 (시원한 소리) 등 
  • 동양적 자연관을 따르는 악곡의 흐름과 음악적 사상 
  • 국악의 형식미 - 국악곡의 각 장들이 같은 선율을 일부분 공유하며 서로 연결

국악의 내용 체계 

 

소리탐색 및 감상 

  • 유아국악교육 : 유아시기의 듣기 능력 발달, 음악에 대한 흥미, 선호의 증진에 영향을 미침 
  • 만 1~ 2세부터 간단한 리듬악기와 타악기를 접하게 하여 국악기와 우리음악에 친근감을 느끼도록 할 것 
  • 이야기있는 국악곡 감상 후 극놀이와 연결, 인접 예술영역 활동으로 확장 

국악 장단 및 노래 

  • 노래부르기 : 유아들이 특별 훈련이나 지적학습을 경험하기 이전에 가능한 활동으로 음악은 모든 영역을 포함하는 활동 (이성천) 
  • 유아국악교육 노래부르기 :전래동요, 창작국악동요, 민요 해당 
  • 유아대상 음악 연구 (김영희, 승진숙등) - 리듬에 대한 반응 중 3박자에 대한 반응이 4박자 보다 높음을 밝힘 
  • 전래동요: 리듬이 단순하고 길이가 짧고 음역이 넓지 않음, 반복적 언어와 리듬은 언어의 맛과 즐거움을 줌 
  • 만 2세 이후 유아 : 친숙한 노래와 리듬을 흥얼 거릴 수 있음 - 메기고 받는 형식의 전래동요는 유아들에게 흥미유발
  • 전래동요의 장단 - 국악장단, 전래동요의 곡조는 민요, 판소리로 발전 
반응형

국악장단 및 국악기

  • 신체와 다양한 도구를 이용한 소리의 음악 교육 - 유아들의 무한한 창의성을 계발하기 위한 효율적 교육방법 
  • 만 3세 이후의 유아들 : 타악기 활용으로 규칙적인 박을 연주할 수 있음 
  • 국악의 흥을 경험하고 장단을 쉽게 익힐 수 있도록 말장단 놀이, 장단에 따른 몸으로 표현하기등의 활동이 좋음

신체표현 및 춤 

  • 음악과 신체적 표현을 결합한 형태의 교수방법 - 유아가 다양한 음악을 듣고 움직이는 활동에 직접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때 창의적인 욕구 충족을 시켜줄 수 있고, 음악적 개녀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됨 
  • 만 2시 에후 - 반복 패턴과 운율에 반응을 보이고 자신의 움직임을 조절하게 됨

국악의 조성과 5음음계 

  • 조성 : 궁조, 평조, 계면조로 분류 
  • 궁조 : "도"로 끝나는 곡 - 궁조의 5음 음계 : 도로 시작해서 도레미솔라
  • 평조 : "솔"로 끝나는 곡 - 평조의 5음 음계 : 솔로 시작해서 솔라도레미 
  • 계면조 : "라" 로 끝나는 곡 - 계면조의 5음 음계 : 라로 시작해서 라도레미솔 

한국의 악기 (photo from 도서출판 돌베개)

<출처 : 방송통신대학 유아음악반주 교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