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한국 식문화의 변천사 - 우리나라의 식생활 문화 (방송통신대학 식생활과 문화 교재 정리)

by Canada Won 2022. 10. 9.
반응형

 (1) 자연환경과 식생활문화 

  1) 지리적 특성 

  • 반도국가, 동경 124 ~ 132도, 북위 33~34도에 걸쳐 있음 
  • 대륙과 해양 으로부터 문화를 받아들이고 전파하기 용이 - 중국의 문화를 일본에 전달하는 교량 역할 

  2) 기후특성 

  • 연평균 10~14도, 사계절 뚜렷
  • 여름엔 고온다습, 강수량이 높아 연 강수량의 40~60% 차지 - 벼농사에 적합 
  • 대륙적 기온, 사계절 구분, 지세, 계절풍 으로 인한 걍수량 분포, 습도, 일조율 등 이 벼농사와 밭작물에 적합, 농림,축산의 입지로도 가능 

  3) 지형특성 

  • 70% 이상이 동부와 북부지역에 걸쳐있는 산지, 남부와 서부의 평야로 낮은 지형
  • 관북 지방 - 한랭, 강우량적은 지역으로 메밀,
  • 관서지방 : 소맥 및 기장 등의 밭농사 
  • 호남지방 - 논농사
  • 영남지방 - 대맥 
  • 만주일대 - 콩의 원산지 - 콩문화 증진시켜 쌀, 보리 주식생활에 영양과 균형을 이루었음 

 (2). 사회환경의 식생활 문화 

    - 사회환경의 요인 : 법률, 종교 와 같은 사회규범, 제도, 풍속 등 

    - 고대사회 : 농업이 주산업 => 공동체 형태의 식생활 형성, 식생활 안정으로 왕권중심 체제를 이룸, 계급 구분으로 인해 귀족식과 서민식으로 분리되는 식생활의 계층화, 상무환경에서는 고기음식 발달 

    - 숭불환경 : 차오 과정류, 도자기 발달, 유교문화 - 조상 봉제사 등 관혼상제의 의례절차에 따른 식생활변화, 향토음식 발달 등이 이루어짐 

 

  1) 고대사회 

  • 공동체적 식생활 양식 - 씨족, 부족 전체에 바탕을 둔 공동체 의식 + 농토 
  • 제천의식의 음식, 무속행위, 고사행위, 부락제 등에서의 돼지머리, 동이째 담는 술, 시루째 놓는 떡 - 공동체 환경에서 유래 

  2) 삼국시대 

  • 중농정책 - 쌀주식, 수조어육류 부식 - 주식 부식 분리의 정착화 
  • 바다에서 어패류 공급
  • 목축, 어로식품은 종교의 영향으로 제한됨 

  3) 통일신라 ~ 고려시대 

  • 숭불사상으로 육식 쇠퇴현상 
  • 국물 김치류, 쌈등의 채소음식 발달, 음다(차를 마시는)풍습, 과정류 발달
  • 대외 교역 확대로 객관 요식업 발달, 소주, 상화, 호초, 사탕 등 유입 

  4) 조선시대 

  • 농업 발달, 유교문화 정착 - 음다풍습 쇠퇴, 숭늉과 막걸리 발달 
  • 조상에 대한 봉제사, 가족제도에 따른 식생활 발달 
  • 공자시대의 숟가락 - 수저문화로 정착 
  • 향약의 연구 보급 - 약식동의 (약과 음식은 그 근본이 같다) 개념 토착화 - 약횩식품들을 식사에 가미 

  5) 개화기 

  • 식품 유통체제가 확대 - 다양한 식생활 문화 시작 
  • 서구 식생활 문화 전래 - 한식과 서양식이 혼합된 이중구조 등장 - 밥과 빵, 숭늉과 커피, 우유, 수저와 포크, 스푼 등

  6) 일제강점기

  • 식생활의 암흑기 - 극도로 궁핍
  • 일본의 가공식품 제조로 식생활 범위 확대 

  7) 1960년대 말 ~ 1970년대 중반

  • 경제개발 5개년 계획으로 자립경제 기반 구축, 산업구조 고도화 - 식품산업의 공업화 성립

(3) 통과의례와 식생활 문화 

  • 통과의례 : 출생에서 죽음까지 겪게되는 중요 과정을 의미있게 하는 의식 
  • 의례 : 규범화된 의식에 따라 축하, 기념 
  • 의례음식 : 의례의 의미를 상징하는 특별 양식 
  • 아놀드 밴 게넵 (민속학자) : 한 개인의 일생의 고비마다 의미기 있고 각 의식마다 목적이 있다. 목적은 개인을 특정한 신분에서 다른 신분으로 통과시키는 일이다 라고 정의 
  • 우리나라의 전통적 통과의례 : 출산과 혼례, 상례와 제례로 구분 

  1) 출산에서 돌 

  • 삼신상(아기의 탄생과 순산을 신께 감사 & 건강회복) 을 올린 후 산모에게 흰밥과 미역국을 제공 
  • 삼칠일 : 태어난지 21일째 금줄이 내려지고 외부인 방문 가능 - 주인집에서 백설기와 수수경단 대접 
  • 100일 : 아기를 위한 잔치, 백설기, 붉은 팥고물 수수경단 등의 떡을 만들어 100집에 나누는 풍습 - 아기가 사회의 일원이 됨을 뜻함 
  • 첫돌 : 가족, 친지들이 모여 아기의 무병장수를 기원 축복해주는 날, 돌잡이를 통해 아기의 장래를 점치는 풍속, 돌상에는 흰밥, 미역국, 백설기, 수수경단, 생과일, 쌀, 타래실, 책, 붓, 활, 돈 등을 놓음. 

돌잔치  (이미지 출처: 나무위키)

  2) 혼례 

  • 신랑신부가 결합하여 부부의 인연을 맺는 의례행사 - 혼례상을 교배상이라고 함 
  • 현구고례 : 신부가 시부모를 처음 뵙고 인사하는 예식 
  • 폐백 : 신부집에서 준비해온 음식, 폐백 드림 : 음식을 시부모에게 드리고 인사올리는 절차, 시아버지에게는 대추, 시어머니에게는 육포를 쓰는 것이 보통 
  • 신부가 가져온 음식의 정도 - 신부가문의 경제력 가늠 

전통혼례 (이미지 출처 : 한국문화제재단)

  3) 상례 

  • 운명한 후 마지막 이별의 절차의례
  • 관혼상제 의례행사중 가장 복잡 하고 정중, 자손들의 효심을 가늠 
  • 전 : 술과 과일(생과, 조과), 포를 놓음 
  • 운명후 3,5,7일간 조문객들이 머물며 식사 - 죽어도 3년 먹을것 가져간다라는 말 유래 

우리나라의 전통 상례 (이미지 출처: YTN)

  4) 제례 

  • 고인 추모, 근본에 보답하는 의례 - 보본의식 
  • 일가친척이 제사에 참여하고, 복받기를 기원 
  • 제사후 음복 (음식을 나눠먹음) - 제사를 모신 사람과 받는 사람이 합체를 이룰수 있다고 믿음 
  • 나물 넣은 비빔밥을 나누어 먹고 제사음식을 싸주어 복을 나누는 풍속 

우리나라의 제례문화 (이미지 출처: 문화유산신문)

 

<출처: 방통대 식생활과 문화 교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