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오블완21

방송통신대학 식생활과 문화 교재 정리 -중국의 명절음식 중국 명절과 음식 춘절 음력 1월 1일 북방 사람들은 자오쯔 (만두) 를 먹음 - 껑쉐이자오쯔 라 함 남방사람들은 니엔까오 (중국식 설떡) 와 탕위엔을 먹음 - 해마다 나아지고 온 가족이 한자리에 모인 것을 의미  원소절 음력 정월 15일로 등절, 등석이라고도 함 춘절 이후 첫째 보름날 밤 위엔샤오(온가족이 한 자리에 모임을 뜻함 )  를 먹고 관등 놀이를 하는 풍속이 있음 단오 음력 5월 5일, 중국 고대 애국시인 굴원을 기념하는 날 쫑쯔 - 찹쌀 반죽안에 대추, 버섯, 고기등을 넣어 대나무 잎이나 갈대 잎으로 싸서 찐 삼각형의 음식 중추절 음력 8월 15일 로 가을의 중간이라는 의미, 단원절, 중치우지에라 부르기도 함 월병 - 모임을 상징, 모양과 종류가 변하고 늘어남 납일 음력 12월 8일, 섣달에.. 2024. 11. 15.
방송통신대학 식생활과 문화 교재 정리 - 중국의 지역별 음식 특징 중국의 지역별 음식 특징  북경음식 (베이징)궁중음식으로 사치스럽고 고급스러운 음식문화 발달 양, 소, 오리 등을 이용한 요리가 많음 밀농사권으로 밀가루를 이용한 면, 만두, 떡 등을 주식으로 먹음 한랭지역으로 고칼로리 음식이 요구됨 - 기름이용 요리가 많음 대표 음식 : 북경 통오리구이, 양고기로 만든 징기스칸구이, 케찹대하, 해삼조림, 소고기숙주곁들임, 돼지고기 자장볶음  사천음식 (쓰촨)중국 서부 지역의 음식 대표, 양쯔강 상류지역에서 발달한 음식 총칭 - 쓰촨, 윈난, 구이저우 포함 계절 구분이 뚜렷해 사계절 농산물이 풍부하나 바다와 떨어져 있어 해산물이용한 음식이 적음 산악지대로 더위와 추위가 심한 악천후를 이겨내기위한 향신료, 마늘, 고추 등 많이 사용 - 매운맛 식품 저장법 발달 - 염장식품.. 2024. 11. 14.
방송통신대학 식생활과 문화 교재 정리 - 중국 음식문화의 특징 중국 음식 문화의 특징 1) 음식재료의 다양성 다양한 음식재료 : 흔한 음식 재료 이외에 돼지 내장, 오리피, 닭 벼슬, 집오리 혓바닥 등의 특수 재료 사용 개, 고양이, 뱀, 곰발바닥, 제비집, 상어지느러미, 원숭이 뇌, 코끼리 코 등은 특미 대접을 받았음 중국의 식생활문화 - 다양하고 풍부한 음식으로 세계에 인식 시킴 2) 조리기구 - 간단, 사용 용이 훠궈 (중국냄비), 사궈( 볶음, 튀김냄비), 러우사오 (그물조리), 정릉(찜통), 식칼, 뒤지개, 국자 등을 주리 사용다양한 음식 종류에 비해 심플한 조리기구와 간단한 사용법 - 현실중시하는 실용주의와 합리성에서 기인  3) 숙식 (불, 뜨거운 물로 익혀먹는 방법) 위주의 식습관 숙식 (불이나 뜨거운 물을 사용해 익혀먹는 방법) 이 기본 조리법 차문.. 2024. 11. 13.
방송통신대학 식생활과 문화 교재 정리 - 중국의 식생활 문화 중국의 자연환경과 시대별 식생활 문화   자연환경 중국 총 면적 : 965만 Km2 으로 한반도의 50배 열대다우 기후 지역 : 하이난 섬 남부온대습윤 기후 지역 : 타이완 동부와 양쯔 강 하류지대 온대몬순 기후 지역 : 북 지방 고산 기후 지역 : 칭짱 고원에 넓게 나타남 식생활 문화의 역사 1) 앙소, 용산문화시대 (B.C. 5000 ~ B.C. 1800) - 중국의 신석기 시대 은 문화의 기반이 된 신석기 시대 화전 경작으로 수수, 조, 채소 재배, 일부지역에서 자연관개수로 벼농사를 함 용산문화시댁에 광범위하게 벼 재배 개, 돼지,소, 양등을 사육, 말,사슴, 들소, 코뿔소등 사냥 2) 은, 주, 전한 시대 (B.C. 1550 ~ A.D. 24) 은시대의 농경지 : 황허 중류와 하류에 위치, 관개 .. 2024. 11. 12.
방송통신대학 식생활과 문화 교재 정리 - 절사음식 절사음식 절후에 맟줘 절식 풍습을 형성 정신적, 신체적 건강 조절 쌀중심의 떡가 술이 주류를 이룸 빈부귀천없이 가장 보편적이고 소탈한 음식 한달에 한번씩 절식을 따라 음식을 먹고 오락을 즐김 - 집단 공동체의 동질성 확인, 이웃간 친목도모절식의 종류와 식생활의 내용 설날 (정월 초하루) : 흰떡국, 만두, 약식, 인절미, 갈비찜,전유어, 빈대떡, 편육, 나박김치, 나물류, 강정, 수정과, 식혜, 과일, 차 등을 준비 정월 대보름 : 음력 정월 14일 저녁, 오곡밥, 묵은 나물을 먹으며 달맞이를 함, 15일 아침에는 부럼을 깨물고, 아침상에 귀밝이술을 내 노음, 복쌈으로 김, 취나물, 배추에 밥을 싸 먹음으로써 복과 풍년 기원 삼월 삼짇날 : 음력 3월 3일, 강남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날, 화전, 쑥떡, .. 2024. 11. 11.
방송통신대학 식생활과 문화 교재 정리 - 제례 상차림 제례의 상차림 제례의 변천사 : 고대 민간신앙의 제천의식 → 불교 삼국시대에서 고려시대까지의 제 → 유교영향을 받은 제 → 조선시대 성리학 채택후 유교적 제사양식의 규범화 제례의 종류 : 선조제,시조제, 기일재, 묘재, 속절재, 사시제 등 기제사 : 고인의 기일에 지내는 제사로 시접 (숟가락과 젓가락을 담아 놓는 대접), 시저 (숟가락과 젓가락), 반 (백반), 갱 (대갱은 제삿국을 고기로만 끓인것, 형갱은 고기와 채소로, 채갱은 채소로만 끓인 것), 면 (국수, 만두류), 편(제사떡), 탕 (고춧가루, 조미료사용 안함), 포(건어나 육포, 건대구), 적 (제수중 특별음식으로 육적, 어적, 계적의 3적을 올림), 혜 (식혜 건더기와 잣, 대추 저민것을 3쪽 정도 올림), 숙채(도라지, 고사리, 시그치 등.. 2024. 11. 10.
반응형